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영

[기사]"기업 57%, 미래수익원 확보 못해"

"기업 57%, 미래수익원 확보 못해"

국내 기업 절반 이상이 미래 수익원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기업 600여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기업 애로요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기업의 57.2%가 `미래 수익원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대기업은 49.8%가, 중소기업은 76.8%가 이같이 응답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54.7%)이나 건설업(50.0%)에 비해 서비스업(62.2%)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기업들이 미래 수익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주력사업이 언제까지 `성장엔진'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3%의 기업이 `10년 미만'이라고 답변했고 `10년 이상 갈 것'이라는 응답은 49.7%, `5년 이하'라는 반응은 17.3%를 차지했다.

기업들은 신규 수익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투자비용 부담(30.3%)'을 가장 많이 꼽았고 `대외여건 불안(19.4%)'이나 `제도 및 인프라 미비(15.8%)' 등을 지목한 기업도 있었다.

투자비용이 부담된다고 답변한 기업은 중소기업(36.3%)이 대기업(28.0%)에 비해 더 많았다.

내년 전체 투자계획 중 미래수익원 관련 비중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기업들 10곳 중 8곳(80.9%)이 `20% 이하'라고 응답했다.

`10% 이하'라고 밝힌 기업도 46.7%나 됐고 `20% 이상'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19.1%에 그쳤다.

현대 확보한 미래 수익원이 어떤 것인지를 묻는 문항에는 기업 32.2%가 `신재생에너지'를 꼽았고 `탄소저감 에너지(12.4%)', `그린 수송시스템(9.2%)'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의 58.5%는 정부의 신성장동력 정책에 대해 공감하고 있었다.

대신 정책이 실질적 효과를 거두려면 `녹색 뉴딜'이나 `IT 코리아 5대 미래전략' 등 관련 정책들과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의견을 낸 기업이 23.4%나 됐다.

이밖에도 `효율적 예산집행을 위한 모니터링 강화(19.9%)', `전통 주력산업과의 균형발전(19.6%)', `정책인지도 등 홍보활동 제고(19.2%)', `부처별 역할 조정(17.8%)' 등을 건의한 기업들도 있었다.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해서는 `금융 및 세제지원 강화'를 고른 기업이 39.1%로 가장 많았고 `전문인력 양성(19.7%)', `관련법규 마련 및 정비(19.4%)' 등을 거론한 업체들도 나왔다.

prayer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안 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