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틀 후인 8일. 서울역을 관리하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역관리처에 비상이 걸렸다. 서울시가 노숙인 퇴거 재고를 요청하는 공문 발송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서울시와 코레일은 함께 지난 8월부터 서울역에서 노숙인을 퇴거시키고 자활을 유도하는 대책을 추진 중이었다. 코레일 측은 “갑자기 시가 입장을 바꿔 난감하다”며 “서울역을 노숙인에게 개방하는 것은 노숙인 자활을 위한 근본 대책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원순표 행정이 불협화음을 낳고 있다. 그는 취임 첫날부터 ‘협치와 소통’을 행정의 최고 가치로 꼽았다. 그러면서 현장으로 뛰었다. 이런 행정은 시에 새 바람을 불어넣었다. 방사능 수치가 과다하게 나타난 월계동에 가서 주민 역학조사를 지시했다. 무상급식 예산 지원을 통해 서울시의회와 서울시의 갈등도 해소했다.

박 시장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의견서’는 중앙부처의 반박, 서울시의 재반박으로 이어지면서 갈등을 확대시켰다. 박 시장이 ‘선 보완대책, 후 요금 조정’ 입장을 정하면서 올해 인상이 어려워진 대중교통 요금도 마찬가지다. 서울시와 사전 협의를 통해 이달 중 요금을 올리는 경기도와 인천은 난감한 상황이다. 단일 교통권인 수도권에서 요금이 제각각이 되기 때

‘Occupy(점령)’ 시위도 이어지고 있다. 용산 재개발 사업을 반대하는 시민 40여 명은 8일 서울시청 별관 로비를 점거하고 6시간 동안 농성을 벌였다. 유재원(행정학) 한양대 교수는 “이런 행정은 민원을 빨리 해결하지만 다른 부서와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글=김영훈·최모란 기자
사진=안성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