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sung Electronics at fork
Samsung Electronics stands at a major crossroads, declared chief executive Choi Gee-sung, Monday.
In an event to mark the technology giant’s 42nd birthday, the top executive said the Suwon, Gyeonggi Province-based outfit will gain sizable acquisitions and invest in existing and new businesses to ensure corporate sustainability.
``The global consumer electronics industry is facing a big turning point amid pessimistic views on slowing economic growth and uncertainties. Samsung needs to be aggressive,’’ said Choi in an opening speech at the ceremony packed with some 400 Samsung employees and executives in its headquarters in downtown Seoul.
Previously, Samsung was keen to strike ``small deals’’ rather than pour money into bigger deals.
Years ago Samsung dropped its ambitious $5 billion bid to buy U.S.-based flash memory chipmaker SanDisk preferring to stay low key and within the ``millions of dollars’’ range in merger and acquisition (M&A) deals.
A Samsung spokesman confirmed the remarks by its CEO Choi, and declined to dish the dirt on potential M&As.
``The next decade is vital for Samsung because the global electronics industry is expected to undergo a complete overhaul. Based on our edge in manufacturing, there is a need to include software development on the existing business structure to maintain our current leadership,’’ said Choi.
Samsung reaffirmed its goal to reap $400 billion in revenue by the end of 2020, enough to rank it among the world’s top 10 companies by then.
``The following three factors _ a leading semiconductor company, the biggest television manufacturer and the worlds’ 17th firm in terms of brand value ($23.4 billion) _ are telling us that Samsung is a global company. But we need to create more value,’’ he said.
Such upbeat tones from Choi come after Samsung is aiming to invest at least a record 38 trillion won in its key facilities next year from 31 trillion won this year.
More urgently, legal battles with Apple continue to deepen as two separate court cases in Italy and France ruled in favor of the U.S. rival, dealing a heavy blow to Samsung.
Not to be outdone, Samsung nevertheless finally surpassed Apple to become the world’s biggest smartphone maker, gaining 45 percent in handset shipments during the third quarter of this year thanks to the buoyant sales of its Galaxy S and S II Android-based smartphones.
``Samsung is the target for opponents overseas. Survival will require the company to change its way of thinking and that means Samsung must fully open to listen to views from others and communicate,’’ said Choi.
Samsung has managed to keep pace with large leaps in the consumer electronics industry unlike its once cross-town rival LG.
LG has since returned to ownership control after marketing expert Nam Yong resigned from the top post to take responsibility for failing in the smartphone arena.
Samsung was also slow to respond to the smartphone evolution but a prompt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advantages in manufacturing resulted in a Galaxy of smartphones.
As for its television business ― another caterpillar in earnings along with its semiconductors ― Samsung is trying hard to gain more first-mover advantage in the growing market for Internet-enabled and 3D-functioning electronics.
삼성, `M&A 적극 나설 것’
삼성전자가 기업간 인수합병 (M&A)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또 핵심사업 강화와 기존 사업 리더쉽을 위해 공격적으로 투자를 늘릴 방침이다.
단 M&A 대상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는 것이 삼성의 공식 입장이다. 그러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초대형 M&A가 성사될 가능성에 대해 삼성 관계자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창립 42주년을 맞는 삼성전자의 4가지 키워드는 `창조 혁신과 공격 경영,’`소프트경쟁력 강화,’ `인재육성’으로 요약된다.
최 부회장은 31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에서 열린 창립 42주년 기념식 행사에서 ``삼성전자는 지난 70년대 반도체 분야 진출과, 90년대 ‘신경영’ 선언을 통한 질 위주 경영으로 경쟁력을 혁신하고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기반을 다졌다’’며 지속 성장을 위해 4가지 사항을 직원들에게 당부했다.
첫째 ``과감한 도전 정신과 개방적 사고로 창조적 혁신을 이뤄내자’’고 말했다. 전 세계의 주목과 견제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과거와 같은 사고 방식으로는 도태될 것이며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내외부의 다양한 의견과 자원을 적극 수용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둘째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아 더욱 공격적인 경영을 펼치자’’고 주문했다. 초일류 100년 기업을 향한 신성장 동력의 확보를 위해 투자, 인수합병 등을 더욱 과감하게 추진할 것을 주문하고 헬스케어 등 신사업 경쟁력 강화와 신흥시장 공략을 강조했다.
셋째 ``H/W와 S/W, 서비스의 통합 역량을 적극 강화하자’’고 주문했다. 전자산업이 전면적으로 재편되는 앞으로의 10년에서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삼성전자의 뛰어난 H/W 경쟁력을 바탕으로 창조적 소프트 경쟁력을 극대화, 전자산업 대변혁기를 선도할 수 있는 혁신 기업으로 거듭나자고 당부했다.
넷째 ``우수 인재의 발굴과 육성에 힘을 쏟자’’고 강조했다. 어떤 시대든 불확실성과 위기를 극복하는 원동력은 인재라며 S/W, 서비스, 콘텐츠 등 소프트 분야 우수 인재와 전문성•유연성을 겸비한 우수 여성 인력을 적극 발굴하고 육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한, 상호 원활한 소통을 장려하고 건설적인 실패를 용인하는 창조적 기업 문화를 갖춰 임직원들이 마음껏 역량을 펼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나갈 것을 당부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은 최지성 부회장과 주요 사업부장 등 임직원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최 부회장의 기념사와 20년•30년 근속상 및 모범상 시상식이 함께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