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 “30대엔 자금, 40대엔 승부, 50대엔 성취”
June 21, 2011 | ||||
Son, the 54-year-old Korean-Japanese businessman, is the wealthiest man in Japan, according to Forbes Magazine. He is also considered one of the country’s most influential entrepreneurs of the digital era. He is an avid Twitter user with more than 1.2 million followers, the most in Japan. Meeting with reporters for the first time in 11 years, Son said he has been upping investment in China in recent years, picking three entities as successful investments: Alibaba, the e-commerce Web site; Renren,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PPTV, the online TV service. “Twelve years ago we focused on the U.S. market, 10 years ago we concentrated on the Japanese market, and five years ago we shifted our focus to the Chinese market,” Son told reporters at the Shilla Hotel in central Seoul. Son added that growth in China has been impressive and that the three entities are atop their sectors. Son has also been actively investing in Korean IT firms, a trend he promised to continue. “Korea has one of the world’s best IT infrastructures. ... I will continue to expand my investment in the Korean businesses,” Son said. Currently, Son is financing some 120 Korean IT start-ups with investments worth about $200 million. He added that partnerships with Korean companies will be more diverse, expanding from an information revolution - which has been the mission of SoftBank since its foundation 30 years ago - to renewable energy, in which Son has noticeably taken an interest since the Japanese earthquake in March. In line with such efforts, SoftBank and Korean telecom titan KT announced last month that they will set up a joint cloud computing venture in Korea later this year, hoping to tap into demand for reliable Internet storage systems that can protect companies’ data from getting lost in natural disasters. SoftBank is Japan’s third-largest operator of wireless services, after NTT and NTT Docommo. It has about 800 affiliated companies in Internet, telecommunications, media, online commerce and other fields through partial stake ownership or joint ventures around the world. Its $7.8 billion operating profit for fiscal 2010 beat out two of Japan’s biggest conglomerates, Sony and Toyota Motor. By Kim Hyung-eun [hkim@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중앙일보] 손정의 “30대엔 자금, 40대엔 승부, 50대엔 성취” ‘녹색 서밋’ 방한 … 손 회장의 인생론 손정의(54)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이 19세 때 세운 인생계획이 있다. ‘20대에 이름을 알리고 30대에 사업자금을 마련하며 40대에 큰 승부를 건 뒤 50대에 사업을 완성시킨다.’ 자신과의 약속대로 50대에 성공을 거둔 그가 20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 나타났다. 모국에서 가진 11년 만의 공식 기자간담회다. 그는 “한국 기업들과 손잡고 ‘오리엔탈 특급 프로젝트’를 펼치겠다”고 밝혔다. 한국의 주요 정보기술(IT) 기업과 함께 아시아 전역을 겨냥한 각종 사업을 펼치겠다는 복안이다. 간담회의 압권은 ‘소프트뱅크 30년 비전’을 주제로 1시간50분 동안 펼친 프레젠테이션. 그는 “30년 비전을 세우기 위해 트위터를 시작했다. 팔로어들에게 슬픔 또는 기쁨의 원천이 뭔지 물어 이를 토대로 답을 찾았다”고 전했다. “종합해 보니 인간 행복의 원천은 감동, 고통의 뿌리는 고독이더라. 정보혁명을 통해 국경·인종·언어는 물론 시간과 공간이란 제약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고독 대신 행복을 느끼게 하는 것이 우리 비전”이라고 덧붙였다. 손 회장은 현재 일본에서 가장 많은 팔로어(120만 명)를 가진 트위터 사용자다. 그는 이어 “30년 뒤를 알려면 300년 뒤를 조망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유의 철학적이고 몽상가적인 기질을 드러낸 것이다. 그가 내다본 300년 뒤 세상이 흥미롭다. “IT가 놀랍도록 발달해 인간과 컴퓨터의 지능 차이가 현재 인간과 아메바의 차이보다 더 크게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상의 생물 종보다 로봇 종류가 더 많아져 자연재해·테러·바이러스처럼 인력으론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을 도맡게 될 것이다. 로봇은 인류의 적이 아닌 파트너가 될 것이다.” 젊은이들에게 조언하고픈 말을 묻자 그는 “뜻을 세워야 한다. 나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의 행복을 위한 뜻을 세울 때 큰 성취를 할 수 있다”고 답했다. 그는 “19세 때 사업철학과 50년 인생계획을 수립한 뒤 이를 흔들림 없이 추진해 왔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공동 주최하는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 참석차 방한한 그는 간담회에 앞서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도 만났다. 그는 “한국·일본·중국이 힘을 합쳐 몽골 고비사막의 태양열을 활용한 대규모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하자”고 이 대통령에게 건의했다. 김상협 청와대 녹색성장환경비서관은 “유럽과 중동 전력 수요의 15%를 사막의 태양에너지로 대체하려는 ‘데저테크(DESERTEC)’ 프로젝트의 한·중·일 버전인 고비테크(Gobitech)”라고 설명했다. ◆손정의=재일교포 3세. 17세 때 미국으로 유학, UC버클리대를 졸업했다. 1990년대 초 벤처기업 ‘야후’에 투자해 그 성장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 2001년 설립한 소프트뱅크모바일은 현재 일본 3위 통신업체. 소프트뱅크의 현재 총자산은 56조원이다. [한글 원문 보기]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억만장자의 조언 : 성공의 위한 10가지 법칙 (0) | 2011.06.27 |
---|---|
고객에 일을 시켰다… 매출이 올랐다 (0) | 2011.06.23 |
"삼성 너무 잘하고 있지만 30년전에는 소니도.." (0) | 2011.06.20 |
당신이 실패하는 이유는 딱 세가지다 (0) | 2011.06.20 |
[늘푸른길의 책]직장을 떠날 때 후회하는 24가지 (0) | 2011.06.20 |